목록파이썬 (5)
원2

문제 링크 풀이 먼저 필자가 생각한 문제 풀이 방식은 이렇다. 1. 문자열을 입력받는다. 2. 입력받은 문자열을 한 글자씩 쪼개 리스트에 넣는다. 3. 리스트의 문자가 대문자라면 소문자로, 소문자라면 대문자로 바꿔준다. 4. 바뀐 문자들을 리스트에서 꺼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든 후 출력한다. 코드 # 1 a = input() # 2 list = list(a) # 3 for i in range(len(list)): if list[i].isupper() == True: # i번째 인덱스의 수가 대문자라면 list[i] = list[i].lower() # 소문자로 변환 else: # 소문자라면 list[i] = list[i].upper() # 대문자로 변환 # 4 print("".join(list)) # joi..

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: 30840 KB, 시간: 68 ms 분류 사칙연산(arithmetic), 수학(math) 문제 설명 (세 자리 수) × (세 자리 수)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. (1)과 (2)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주어질 때 (3), (4), (5), (6)위치에 들어갈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(1)의 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, 둘째 줄에 (2)의 위치에 들어갈 세자리 자연수가 주어진다. 출력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차례대로 (3), (4), (5), (6)에 들어갈 값을 출력한다. 풀이 - 'b'를 정수(int)로 입력받을 시 len()함수를 사용할 때 문자열로 변환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문자열로 입력받았다. - 문제에서 "세 ..
Python에서 기본제공하는 숫자처리 함수 함수명 의미 예시 abs 절댓값 abs(-5) max 최대값 max(2, 7) min 최소값 min(2, 7) pow 제곱 pow(2, 4) round 반올림 round(3.99) 출력하기 → print(abs(-5)) # -5 의 절댓값 = 5 print(max(2, 7)) # 2 와 7 중 최대값 = 7 print(min(2, 7)) # 2 와 7 중 최소값 = 2 print(pow(2, 4)) # 2 의 4 제곱 = 2 * 2 * 2 * 2 = 16 print(round(3.99)) # 3.99 의 반올림 = 4 math 모듈 파이썬에서 연산을 할 때 좀 더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경우 math 모듈을 사용합니다. 우선 math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 imp..

파이썬에서 문자열 내에 찾는 문자의 위치를 확인할 때 주로 문자열 함수 find()와 index()를 사용합니다. 이 두 함수는 찾는 문자의 위치 반환 시, index 값으로 반환합니다. 예시로 변수(Ex) 안에 "I like apple"이라는 문자열을 입력하고 각각 find() 함수와 index() 함수를 사용하여 출력해 보았습니다. Ex = "I like apple" print(Ex.find('apple')) >> 7 Ex = "I like apple" print(Ex.index('apple')) >> 7 문자열에서 찾는 "apple"의 index 값을 반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찾는 문자열이 없을 때에는 어떨까요? find() -1을 리턴한다. Ex = "I like apple" p..

파이참에서 글씨&배경 색 변경 방법: ↓ 먼저 왼쪽 상단에 위치한 File > Settings 메뉴로 이동해 줍니다. ↓ 그러면 이렇게 설정창이 나오게 됩니다. 여기서 Editor 항목을 클릭해 주세요. ↓ 그 후 Color Scheme > General 항목을 선택해 주세요. ↓ Scheme박스를 클릭하고 마음에 드는 항목을 골라 아래 미리보기 창에서 선택한 항목이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 미리 볼 수 있습니다. 모든 수정이 끝나면 아래 Apply버튼을 눌러 적용시킨 뒤 OK버튼을 눌러 확인해 줍니다.